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정신상담의 해리성 심리

by 알면경제인 2023. 10. 23.

정신상담의 해리성 심리는 개인이 불안, 스트레스, 정서적 고통 등을 경험할 때

이를 해소하기 위해 사용하는 방어 메커니즘 중 하나입니다.

해리성 심리는 현실에서의 어려움이나 내부 충돌로부터 일시적으로

멀어지거나 분리되는 경향을 보입니다.

이러한 방어 메커니즘은 일시적으로 안전한 상태를 유지하고

심리적인 고통을 완화하는 역할을 합니다.

해리성 심리는 다음과 같은 특징들로 설명될 수 있습니다.

 

 

분절화

 

분절화 (Compartmentalization)

 

분절화는 감정, 생각, 경험 등을 서로 독립된 구역으로 나누어 처리하는 방식입니다.

개인은 어려운 상황이나 충돌 요소와 관련된 것들을 다른 영역에서 분리하여

처리함으로써 불안과 스트레스를 최소화하고 일상 기능성 유지에 주력합니다.

예를 들어, 어떤 사람은 직장에서의 문제와 가정 내의 문제를 서로 다른 "구역"으로

취급하여 각각에 대해 따로따로 대처할 수 있습니다. 해리성 심리의 분절화는

정신적인 방어 메커니즘 중 하나로, 개인이 어려운 상황이나 내부 충돌을 처리하기 위해

감정, 생각, 경험 등을 서로 독립된 구역으로 나누어 처리하는 현상입니다.

이는 일시적으로 안전한 상태를 유지하고 심리적인 고통을 완화하는 역할을 합니다.

해리성 심리의 분절화는 다음과 같은 특징들로 설명될 수 있습니다

영역 분리는 해리성 심리에서 개인은 어려운 상황이나 충돌 요소와

관련된 것들을 다른 영역으로 나누어 처리합니다.

이러한 분절화는 각각의 영역에서 일어나는 사건들에 대한 관심과 참여를

제한함으로써 불안과 스트레스를 최소화하고 일상 기능성 유지에 주력합니다.

예를 들어, 어떤 사람은 직장에서의 문제와 가정 내의 문제를 서로 다른

"구역"으로 취급하여 각각에 대해 따로따로 대처할 수 있습니다.

정보 차단 해리성 심리에서 개인은 자신이 원치 않는 정보나 감정에 대한

접근을 제한합니다. 이러한 정보 차단은 개인이 불안감과 스트레스를

경감시키기 위해 사용되며, 그들의 현재 상태와 관계가 없다고 인식되는 정보들을

거부하거나 무시할 수 있습니다. 기억 및 경험 단편화 해리성 심리에서

개인은 과거의 기억과 경험을 단편적으로 인식하고 처리합니다.

이러한 단편화된 기억과 경험은 현재 상황에 대한 감정적 부담감을

줄여주기 위해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트라우마 후스트라우마 장애 (PTSD) 환자가 특정 사건에 대해서만

선별적으로 기억하는 것처럼 특정 부분만 추출하여 존재한다고 인식할 수 있습니다.

정체성 붕괴 해리성 심리에서 개인은 자기 자신과 연결되지 않거나 자기 자신에

대해서 외부와 독립된 존재처럼 인식됩니다.

이러한 정체성 붕괴는 어렵거나 고통스러운 상황 속에서 본능적 반응 및 정체성

유지보다 나아가서 "분리"되었다고 생각함으로써 안전함을 유지하려는 결과입니다.

 

 

화면효과

화면 효과 (Screening Effect)

 

화면 효과는 개인이 어려운 상황이나 충돌 요소를 마치 영화 화면 속에서 관람하는 것처럼

감정적으로 멀게 인식하거나 무관심한 태도를 취하는 현상입니다.

개인은 자신의 내부 충돌 요소에 대한 인식 및 조절 과정에서 발생하는

불안함을 외면하기 위해 이러한 방어 메커니즘을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 어떤 사람은 자신의 가족 문제에 대해서만큼은 마치 외부 사건처럼

관찰자가 되어 거동하거나 반응할 수 있습니다.

 

시간변형

시간 변형 (Time Distortion)

 

시간 변형은 개인이 어렵거나 불안한 상황 속에서 시간의 경과가 왜곡되게

인식되는 현상입니다. 개인은 시간이 너무 빠르게 지난다고 느낄 수도 있고,

반대로 시간이 멈추거나 지체된다고 느낄 수도 있습니다.

이러한 변형된 시간 인식은 현재 상황에 대한 감정적 부담감을

줄여주기 위해 사용됩니다.

해리성 심리의 시간변형은 개인이 어려운 상황이나 내부 충돌 속에서

시간의 경과를 왜곡되게 인식하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이는 일시적으로 안전한 상태를 유지하고 심리적인 고통을 완화하기 위한

방어 메커니즘 중 하나로 작용합니다.

해리성 심리의 시간변형은 다음과 같은 특징들로 설명될 수 있습니다.

시간 가속 또는 지체로 해리성 심리에서 개인은 어려운 상황 속에서

시간의 경과가 정상적인 상황보다 빠르게 혹은 느린 것처럼 인식할 수 있습니다.

이는 개인이 현재 상황에 대한 감정적 부담감을 줄여주기 위해 사용되며,

일시적으로 안전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방어 메커니즘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존재의 비현실성 해리성 심리에서 개인은 자신이 존재하는 현실 세계와

연결되지 않거나, 그와 독립된 존재로 인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비현실적인 인식은 어렵거나 고통스러운 상황 속에서 본능적 반응 및

정체성 유지보다 나아가서 "분리"되었다고 생각함으로써 안전함을

유지하려는 결과입니다.

경험 장면화 해리성 심리에서 개인은 어렵거나 고통스러운 경험을

마치 영화 화면 속에 있는 장면처럼 관람하는 것처럼 인식할 수 있습니다.

이는 감정적으로 멀게 인식하거나 무관심한 태도를 취함으로써

감정적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기억 변조 해리성 심리에서 개인은 과거의 기억들을 단편화하거나

왜곡하여 처리합니다.

특정 사건에 대해서만 선별적으로 기억하는 것처럼 특정 부분만 추출하여

기억한다고 생각할 수 있으며, 이 역시 현재 상황에 대한 감정 부담을 줄여주기 위해

사용됩니다.

 

시간변형

디아양시스 (Disassociation)

 

디아양시스는 개인이 자기 자신과 연결되지 않거나 자기 자신에 대해서

외부와 독립된 존재처럼 인식되는 경향입니다.

개인은 어렵거나 고통스러운 상황 속에서 본능적 반응 및 정체성 유지보다

나아가서 "분리"되었다고 생각합니다.

예를 들어, 디아양시스가 있는 사람들은 극단적일 경우 복잡 외상 후

스톡홀름 증후군 등 특수 경우일 때 관찰될 수 있으며

보통 우울 장애와 같으면서 다른 성격장애등 다른 조건들과 함께 나타납니다.

 

해리성 심리 메커니즘이 일시적으로 안전함을 제공하지만 장기적으로

지속될 경우 추가적인 정서 및 정체성 문제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신상담 접근 시 클라이언트가 그들의 해리성 심리와 그것이 가져올

가능한 부작용에 대해 인식하도록 돕고 안전환경 조성 및 조율 작업 중요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