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상담에서 마이크로프로세스 상황은 상담 과정에서 발생하는
소규모 상호작용의 일부분을 의미합니다.
이는 상담자와 클라이언트 사이에서 작은 규모의 대화, 표현, 반응 등이
일어나는 구체적인 순간입니다.
아래에서는 마이크로프로세스 상황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
마이크로프로세스 상황은 상담자와 클라이언트 간의 소규모 대화 및
인터랙션을 다룹니다. 이러한 순간들은 전반적인 상담 과정 중에 발생하며,
개별적인 요소들과 그들 사이의 관계를 탐구하고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마이크로프로세스 상황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언어적 요소
마이크로프로세스는 주로 언어를 통해 언어적 요소를 가지며 상호적으로 이루어지며,
대화와 의사소통을 중심으로 합니다.
클라이언트가 말하는 내용, 언어 선택, 문장 구조 등 모두 해당됩니다.
또한, 이러한 언어적 요소들은 클라이언트의 생각과 감정을 나타내고
그들과 함께 작업하기 위한 기반이 됩니다.
비언어적 요소
마이크로프로세스는 단순히 말하기만 하는 것에 국한되지 않습니다.
비언어적인 신호와 신체 언어도 포함됩니다.
예를 들면, 목소리 톤, 신체 움직임, 태도 등입니다.
이러한 비언어적 요소들은 클라이언트의 감정상태나 내면세계를
파악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반응 및 조절
마이크로프로세스에서는 상담자가 클라이언트의 발언에 대해 적절하게
반응하고 조절합니다.
화두 설정
적절한 질문 또는 주제 제시를 통해 대화 방향성 설정 확인 및 요약을 통해
클라리파잉(명료화)하여 확실성 확보 공감 및 지원을 할 수 있다.
공감과 지원으로서 긍정적인 분위기 조성을 할 수 있다.
정신상담학에서의 "드러내기 개입"은 클라이언트가 의식하지 못하거나
무의식적으로 숨기고 있는 감정, 생각, 욕구 등을 상담자가 클라이언트에게
알리도록 유도하는 상담 기법이다.
이는 클라이언트의 내면 세계를 탐구하고 문제 해결을 돕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아래에서는 드러내기 개입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
드러내기 개입은 상담자가 클라이언트의 내면세계를 더 깊게 이해하기 위해 사용되며,
의식적인 수준에서 숨겨진 감정, 생각, 욕구 등을 드러낼 수 있도록 유도합니다.
이는 클라이언트가 자신의 내면 경험과 관련된 것들을 인지하고 표현할 수 있도록
돕는데 목적이 있습니다. 드러내기 개입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이루어집니다.
감정 드러내기: 상담자는 클라이언트의 언어 선택, 목소리 톤, 신체 언어 등을 관찰하여
그들의 감정 상태를 파악합니다. 그리고 클라이언트에게 그들의 감정을 직접적으로
말하거나 추종하여 나타낼 것을 유도합니다. 예를 들어,
"당신은 지금 속상한 것 같아 보입니다"와 같은 발언으로 감정 드러내기를 시도할 수 있습니다.
비판 없는 표현: 상담자는 클라이언트에게 그들의 의견과 생각을 표현할 수 있는
안전한 공간을 제공합니다.
비판 없는 태도로 대화를 진행하며, "당신은 자유롭게 말씀해 주세요"와 같은 발언으로
환영하는 분위기를 조성합니다.
승인 및 확인: 상담자는 클라이언트가 나타낼 가능성 있는 무응답(무반응)에 대해서
승인 및 확인하는 역할을 합니다.
공감: 클라이언트가 어려운 감정 혹은 경험에 직면했을 때 공감하여 받아주고 이해한다.
긍정적 인사척보임: 적극적 반응 (nodding head), 웃음 등 약간 다른 맥락에서 반복을 한다.
드러내기 개입의 승인 및 확인은 상담자가 클라이언트의 드러낸 감정, 생각, 욕구 등에 대해
긍정적으로 수용하고 이해한다는 의미입니다. 이는 클라이언트가 자신의 내면세계를
표현하고 나아가 상담 과정에서 안전하게 느낄 수 있도록 돕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아래에서 승인 및 확인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
공감: 상담자는 클라이언트가 어려운 감정 혹은 경험을 표현할 때 공감하여 받아주고 이해합니다.
공감은 클라이언트에게 그들의 경험이 유효하다고 느끼게 하며,
그들을 위로하고 지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어, "저런 상황에서 화나셨다니
정말 어려웠겠네요"와 같은 발언으로 공감을 표현할 수 있습니다.
긍정적 인사척보: 상담자는 비언어적인 방식으로도 승인과 확인을 전달할 수 있습니다.
적극적 반응 (nodding head), 웃음 등을 통해 클라이언트에게 긍정적 신호를 보내어
그들의 말에 주목한다는 것을 알립니다.
이러한 인사척보는 클라이언트가 드러낸 것들이 중요하다고 여겨진다는 메시지를 전달합니다.
약간 다른 맥락에서 반복: 상담자는 클라이언트가 말한 내용을 약간 다른 맥락에서 반복하여
승인과 확인하는 역할을 합니다.
정신분석학에서 전이(Transference)와 저항(Resistance)은 중요한 개념으로,
분석 과정에서 클라이언트의 내면세계와 상호작용하는 패턴과 장애물을 설명합니다.
아래에서는 전이와 저항에 대해 알기 쉽게 설명하겠습니다.
전이 (Transference): 전이는 클라이언트가 상담자에게 자신의 과거 경험과 관계를
현재 상황에 반영하여 다시 경험하려는 경향을 보이는 현상입니다.
클라이언트는 이전에 중요한 사람들과의 관계나 감정적인 경험을 상담자에게 옮기고,
그들과 유사한 감정, 충동 및 기대를 상담자에게 투영합니다.
예시: 클라이언트가 부모와의 복잡한 관계를 가졌다면, 그들은 이전의 부모-자식 동적을
분석 과정에서 상담자-클라이언트 동적으로 반복할 수 있습니다.
이는 클라이언트가 상담자를 부모나 다른 중요 인물로 인식하고 그들과 같은
감정적 연결을 형성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전이는 분석 과정에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클라이언트의 무의식적인
내면세계를 탐구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러한 투영된 감정 및 관계 패턴은 분석자와 함께
조명되고 해체되어 개인의 내면 충돌 및 갈등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저항 (Resistance): 저항은 클라이언트가 정신분석 과정에서 변화나 탐구로
나아가기 위해 내부적으로 느끼는 장애물 또는 방어 메커니즘이며,
집중력 활성화 및 문제 해결 프로세스를 방해할 수 있는 요소입니다.
예시: 저항은 클라리파잉(명료화) 작업 중 정보 제공 거부,
집중력 붕괴 등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무슨 말하지 않거나 주제 변경 등으로
회피하거나 거부하는 것도 일반적인 저항 양상입니다. 저항은 일부분의
의식적인 욕구나 소매치기 등 왜곡된 방어 메커니즘이므로,
정신분석 학문 안에서 주목받아야 하는 요소입니다.